[스포츠서울 | 표권향 기자] 전 세계적으로 AI가 일상에 침투하면서 직업을 잃을 수 있다는 걱정이 생겼다. 업무에서는 편리하게 유용할 수 있지만, 자칫 자신의 업무 능력을 위협할 것이라는 우려를 자아낸다. 특히 신기술에 대한 적응력은 빠르지만, 이에 따라오는 근심은 한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.
3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정세정·신영규 연구원은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 10개국 시민들을 설문 조사 결과(‘SCOaPP-10’ 데이터) 분석 보고서를 공개했다.
먼저 ‘AI 등 신기술로 자기 업무가 위협받을 수 있겠느냐’는 질문에 한국인 35.4%가 ‘매우 동의하거나 동의한다’라고 답했다. 이탈리아(39.1%)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.
AI 종주국으로 꼽히는 미국은 35.0%로 3위를 기록했다. 반면, 덴마크는 18.3%로 가장 낮은 답변율을 보였다.
‘업무와 관련해 디지털 기술 숙련도가 충분한가’를 묻는 항목에서는 한국이 ‘매우 동의 또는 동의’라고 56.9%라고 답해, 폴란드(56.4%)와 함께 최하위 수준을 보였다. 그런데 컴퓨터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 비율은 한국이 각각 77.0%와 15.6%로 가장 높았다.
이에 대해 연구진은 디지털 숙련에 대한 한국인의 역량이 기준치가 높아, 다소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분석했다.
또한 노동자를 대체하는 신기술이 기업의 수익성을 높일 경우 무(無)규제나 최소한의 수준이어야 한다는 한국인의 의견이 32.9%로 10개국 중 가장 높았다. AI 규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.
반면 숙련도에 긍정 반응을 보인 영국(70.2%)은 규제 최소화에 대해서는 11.6%로 낮았다.
[email protected]
| |
|